선린대 신임 총장에 주대준 누가선교회 회장
페이지 정보

본문
선린대(학교법인 인산교육재단) 는 5일 제 5대 총장에 주대준 KAIST 정보보호대학원 교수(사진)를 선임했다.
주 신임 총장은 전일평 총장에 이어 2월12일부터 4년간 총장직을 맡게 된다.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은 주 신임 총장은 2010년 KAIST 전산학과 교수로 부임이후 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 및 정보보호대학원을 설립하여 센터장, 정보보호대학원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외 부총장을 역임했다.
주 신임총장은 6공화국부터 이명박정부까지 20여년 이상 청와대 근무하면서 IT 전문가로 유례없이 전산실장, 통신처장, 행정본부장, 경호차장을 역임하며 ‘경호과학화‘ 로 대한민국 경호시스템을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최근 대한민국 사이버안보 강화를 위해 창립된 “한국 사이버보안 컨버전스 학회“ 초대 학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특히 박사학위 논문에서 제시한 “악성코드 탐지 툴 (Simon) 개발” 등 사이버보안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평가받는다.
주 신임 총장은 여의도순복음교회 장로이며 청와대와 공직자로 근무당시 청와대기독신우회를 창립하여 청와대근무를 떠날때까지 회장으로 봉사하였으며, 전국 100만 공직자 선교를 위한 “한국기독교공직자선교연합회”를 창립하여 대표회장을 맡는등 공직자 선교에 힘을 쏟았으며, 현재는 한국직장선교연합회 대표회장을 3년째 연임하면서 대한민국 평신도 복음화에 선봉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누가선교회 회장. 월드비전 이사, 다문화가정과 저소득층 자녀 과외교육기관 봉사 등으로 오늘날 소외되고 불우한 청소년 및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꿈의 전도사”로 연간 20회 이상 청소년 특강 활동을 하고 있다.
선린대학교의 설립정신을 계승하여 “섬김과 나눔으로 우리사회에 꼭 필요한 인재 양성을 실현하겠다” 는 소감을 밝혔다.
선린대 발전을 위한 세부 목표로는 △초 연결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협업형 창의인재 양성 △이웃과 사회를 섬기는 참 인간 양육 △국가 산업발전에 필요한 자원을 공급하는 산학협력 추진 △글로벌 교육 경쟁력 향상을 위한 ‘에듀케이션 3.0’ 추진 등을 제시했다
주 신임 총장은 전일평 총장에 이어 2월12일부터 4년간 총장직을 맡게 된다.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은 주 신임 총장은 2010년 KAIST 전산학과 교수로 부임이후 KAIST 사이버보안연구센터 및 정보보호대학원을 설립하여 센터장, 정보보호대학원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외 부총장을 역임했다.
주 신임총장은 6공화국부터 이명박정부까지 20여년 이상 청와대 근무하면서 IT 전문가로 유례없이 전산실장, 통신처장, 행정본부장, 경호차장을 역임하며 ‘경호과학화‘ 로 대한민국 경호시스템을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최근 대한민국 사이버안보 강화를 위해 창립된 “한국 사이버보안 컨버전스 학회“ 초대 학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특히 박사학위 논문에서 제시한 “악성코드 탐지 툴 (Simon) 개발” 등 사이버보안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평가받는다.
주 신임 총장은 여의도순복음교회 장로이며 청와대와 공직자로 근무당시 청와대기독신우회를 창립하여 청와대근무를 떠날때까지 회장으로 봉사하였으며, 전국 100만 공직자 선교를 위한 “한국기독교공직자선교연합회”를 창립하여 대표회장을 맡는등 공직자 선교에 힘을 쏟았으며, 현재는 한국직장선교연합회 대표회장을 3년째 연임하면서 대한민국 평신도 복음화에 선봉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누가선교회 회장. 월드비전 이사, 다문화가정과 저소득층 자녀 과외교육기관 봉사 등으로 오늘날 소외되고 불우한 청소년 및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꿈의 전도사”로 연간 20회 이상 청소년 특강 활동을 하고 있다.
선린대학교의 설립정신을 계승하여 “섬김과 나눔으로 우리사회에 꼭 필요한 인재 양성을 실현하겠다” 는 소감을 밝혔다.
선린대 발전을 위한 세부 목표로는 △초 연결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협업형 창의인재 양성 △이웃과 사회를 섬기는 참 인간 양육 △국가 산업발전에 필요한 자원을 공급하는 산학협력 추진 △글로벌 교육 경쟁력 향상을 위한 ‘에듀케이션 3.0’ 추진 등을 제시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